컴퓨터과학과 4학년 / 웹프로그래밍을 신청해 놓고 이제서야 처음 강의를 들어봅니다
교재는 아래 책 이라는데~ 첫 강의는 웹서비스에 대해 전반적으로 알려주시네여~
웹프로그래밍
과목명 :웹프로그래밍()
저자 :
출판사 :시중교재
발행연도 :2005
ISBN :9788920908682
발행면수 :0
판형 :크라운판
회원평점 :
![]() |
교재 채택연도는 2 0 0 6 년, 도서 발행일자는 2 0 0 5 년 2 월 5 일. |
방송대 웹프로그래밍 강의를 듣기 전에 정광식 교수님 홈페이지 http://cs.knou.ac.kr/~kchung0825/에 들어가 보았어요 ^^
![]() |
직위 : 컴퓨터과학과 교수 메일 : kchung0825@knou.ac.kr 학위정보 - 고려대학교 이학 학사 (전산학 전공) - 고려대학교 이학 석사 (전산학 전공) - 고려대학교 이학 박사 (분산운영체제 전공) | |
![]() |
관심분야 - Fault Tolerance in Distributed and Parallel Computing Systems - Fault Tolerance in Mobile Computing Systems - Routing Optimization on Mobile IP. - Mobility Management on Mobile Computing, Wireless Networks, and PCS - Routing Optimization in Mobile Computing, Wireless Networks, and PCS 연구실주소 서울시 종로구 동숭동 169 한국방송대학교 전산센타 303호 연구실전화 TEL: (02) 3668-4654 / FAX:(02) 3668-4208 강의과목 - 1학기 : 이산수학(2학년), 웹프로그래밍(4학년) - 2학기 : 프로그래밍언어론(3학년), 마이크로컴퓨터(4학년) |
고려대를 졸업하셨군요 ^^ ㅎㅎ 그럼 강의를 들으면서 저 혼자 요약해 봤어요~ 텍스트 위주로 ^^
1강 웹 서비스
*웹 서비스
- XML을 기반으로 하는 공개 표준들을 이용해서 인터넷 기반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원격 메소드(서비스, HWP)를 호출하여 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일컬음
<
XML [XML] 위키백과 백과사전 더보기
>
서비스 제공자 : 자신의 서비스를 중계자에게 제공
서비스 요청자 : 서비스 제공자에게 서비스 실행결과 값을 요청하여 얻음
*웹 서비스의 등장배경
- 분산 객체 기술 관점
: 기존의 CORBA, DCOM은 연결지향형의 동기식 방식이고,
웹 환경은 비연결성의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함
: 방화벽이나 프록시 서버와의 충돌 문제
->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을 통한 문제 해결
<
코바 [CORBA] 위키백과 백과사전 더보기
>
<
DCOM 위키백과 백과사전 더보기
>
<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위키백과 백과사전 더보기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HTTP,HTTPS,SMTP등을 사용하여 XML기반의 메시지를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형태의 프로토콜이다. SOAP은 웹 서비스(Web... >
*웹 서비스의 등장배경
- 소프트웨어 공학 관점
: SOA(Service-Oriented Architecture) [서비스 중심의 구조]
프로그램을 서비스 단위로 설계하고 이러한 서비스들을 모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완성
-> 웹 서비스는 SOA를 따르는 대표적인 예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SOA] 위키백과 백과사전 더보기
*웹 서비스의 등장배경
- 표준화된 데이터 표현 지원 : XML
- 일상적인 프로토콜(HTTP)를 통한 함수 호출 지원 : SOAP
- 표준화된 방법을 통한 함수 검색 [서비스] 지원 : UDDI
- 표준화된 방법을 통한 서비스 수행 내역 [명세] 의 서술 및 배포 가능 : WDSL
<
UDDI [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위키백과 백과사전 더보기
>
*웹 서비스의 세가지 XML 기반 표준
서비스 브로커
서비스제공자 서비스요청자
서비스제공자 -> Publish(WSDL) 서비스 브로커
WSDL -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 하는 서비스를 설명하고, 이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언어
서비스요청자 -> Find(UDDI) 서비스 브로커
UDDI - 서비스 요청자가 자신이 원하는 서비스를 찾는 규격
서비스제공자 [실행결과] <-> Bind (SOAP/HTTP) 서비스요청자
<
WSDL 위키백과 백과사전 더보기
>
*웹 서비스의 특징 [장점]
- 독립성 : 하드웨어/소프트웨어/OS로 부터의 독립
- 개방성 : UDDI, WSDL, SOAP와 같은 표준에 근거한 상호 연동
- 확장성, 유연성 : 텍스트 기반의 XML을 통한 단순한 연동 및 용이한 개발 환경 제공
* XML
- Extensible Markup Language
- 웹 환경에서 정보를 생성하고 데이터 자체와 데이터의 포맷 형태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는 차세대 정보 포맷 표준
- HTML의 단순성과 SGML의 복잡성을 극복
<
* SOAP
-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서비스 접근 통신규약]
- 웹 상에서 서비스 요청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의 원격 메소드 [삽;ㅅ,] 호출 시 XML 메시지 교환을 위해 경량화된 프로토콜
* WSDL
- 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 [웹서비스를 표현하는/알리는 통신규약]
- 웹 서비스 호출을 하기 위해 필요한 피호출자[웹서비스]의 상세설명제공
> 웹 서비스에 대한 인터페이스 명세서
> 해당 서비스가 하는 일(입/출력)
> 서비스에 대한 접근 방법
> 구체적인 서비스 위치
* WSDL
- 서비스 제공자에게 서비스 요청을 하기 위해 WSDL을 이용해 서비스 개요를 얻고, 그 정보를 이용해 SOAP 호출을 할 수 있음
- 이를 위해 XML 스키마를 활용해 데이터 타입을 나타냄
* UDDI
- 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 [표현하고 찾고 묶어주는 기술]
- 서비스 요청자가 누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기위해 웹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브로커에 등록
- 인터넷 웹서핑을 위해 URL을 IP주소로 바꿔주는 DNS 서버의 역할과 유사
* 웹 서비스의 효과
- 데이터 [서비스 명세/결과] 교환의 자동화 및 표준화
> 어플리케이션의 복잡한 접근정보 제어의 표준화
- 어플리케이션의 재사용성 및 기존 인프라의 재활용성 증가
강의정리
1. 웹 서비스 : 인터넷 기반의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원격 메소드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2. SOAP, WSDL, UDDI
질의응답
http://cs.knou.ac.kr/~kchung0825
흠~ 미리 미리 공부 했어야 하는데~ 의욕만 앞서서~
문과인 저에게 많이 어렵네여~ ^^; 용어 자체도 생소하고요
교수님 얼마나 들어봐야 통과 가능할까요? ㅎㅎ
'알기쉬운 IT > 4-1 웹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4학년 웹프로그래밍 - 2강 웹 프로그래밍 기초 강의 요약 (0) | 2010.04.21 |
---|---|
1. 한국방송통신대학교 4학년 웹프로그래밍 정광식 교수 - 1강 웹서비스 강의 요약 (2) | 2010.04.20 |
댓글을 달아 주세요
★ asp 많이 들어봤는데..
당췌 뭔말인지...ㅎㅎ
프로그래머들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php하고 다른거라면서요.(리눅기반인가요?)
Active Server Page 의 약자로 서버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을 말해요 ^^ 저희가 보는 대부분의 홈페이지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변경되는데~ 그것과 관련덴 언어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윈도우 서버를 기반으로 사용하고요
PHP가 리눅스 기반이죠? ㅎㅎ 저도 배우는 입장이라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