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강좌로 <영문법Ⅰ>과 <영문법Ⅱ>가 있을 때 이를 강의하는 데 흔히 사용되는 것이 두꺼운 교재 한 권을 선택하고 이를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누어 강의하는 방법이다. 이는 비교적 많은 내용을 다를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문법을 전체적으로 정리하는데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집중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우리 대학에서는 이 대신 영문법 전체를 두 번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강의법을 택하고 있다. <영문법Ⅰ>의 내용은 대체로 고등학교에서 다루는 것과 비슷하나 그 배열 순서와 중점은 특이한 데가 있다, 우선 문장이라는 커다란 단위에서부터 시작한다. 문장의 요소, 문장의 종류, 문형 등을 비롯하여, 단문, 중문 등을 독립된 장으로 다루고 있으며, 특히, 복문은 3개의 장으로 나누어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품사의 취급에 있어서도 동사를 제외한 다른 품사들은 한 품사를 한 장으로 하거나, 두 개의 품사를 하나로 묶어 한 장으로 한 반면에, 동사는 도합 7개의 장을 할애하여 비중을 두고 있다. 또한 관계사절과 동격절을 복합명사구라는 이름으로 하여, 한 장으로 묶어 놓은 것도 특기할 만하다. 그밖에 부분적으로나마 고등학교에서는 취급되지 않는 내용도 있는데, 이런 것들은 될 수 있는 대로 최소화하여 간략하게 서술하고 있다. 신문법처럼 학생들에게 생소한 내용이나 고등영문법에서 취급될 난해한 내용들은 따로 분리시켜 "Notes"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영문법Ⅱ>에서는 영문법의 주요 개념들을 중심으로 영어의 자료를 다루는 훈련을 한다. 이 때 문법을 어렵고 지겨운 대상으로 파악하기보다는 간단하고 재미있는 상대로 보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는 것이 특이하다. 영어도 하나의 언어이며 어린이들도 쉽사리 구사할 수 있다는 점으로 보아 말에 대한 규칙인 문법도 결코 원리는 까다롭지 않다는 생각을 가져 볼 만하다. 그러한 개념들의 하나로 가산성(countability)을 들 수 있다. 우리가 영어의 명사를 사용할 때는 반드시 이 가산성의 문제를 집고 넘어가야 한다. Water, oil이 셀 수 없다는 것은 우리도 공감할 수 있다. 그렇다면 chalk에 대해 생각해보자. 영어로 two chalks라고 하는 것은 비문법적이다. 이것은 분필은 조각을 내더라도 역시 분필임이 변하지 않으므로 물과 마찬가지로 분필도 가산명사로 여길 수 없다는 영미인의 시각이 빚은 결과이다. 반면 복수가 있는 명사인 car는 자르게 되면 더 이상 차가 아닌 고철이 될 뿐이다. 같은 원리로 a piece of chalk도 무작정 외울 필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
영문법은 영어를 배우고 사용하는 데 있어 중추적인 부분이다. 비록 최근 영어 학습이나 영어 능력 측정 시험에서 영문법을 가급적 배제하는 경향이 있으나 영어의 문장이 어떻게 형성되고 올바른 용법이 어떤 것인가를 알려주는 영문법은 영어에 대한 기초 지식임에는 변함이 없다.
다만 이 책에서는 영문법이 단순히 지식의 수준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제 영어를 구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영어 학습의 살아있는 가이드가 될 수 있도록 집필의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문장의 기본구성으로부터 시작하여 도치의 변화를 주는 것까지 영문법이 핵심 문법사항들을 기술하는 데 주력하면서 종래의 문법서와 달리 명사의 가산성(countability), 관사의 명확성(definiteness)등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현대문법의 추세대로 동사와 관련된 설명을 많이 할애한 것도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품사적 수준에만 머무르지 않고 강조 및 생략, 도치와 부정 등 문장 형성의 역동적 과정까지 고려하여 보다 종합적인 영문법 설명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많은 학생들이 혼동하고 있는 낡은 전통문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현대영어의 흐름을 제시하였으며, 예문들은 현재 북미에서 쓰이는 문어체와 구어체의 영어에서 골라 수록하였다.
흔히 문법을 기피하는 이유는 내용이 어려워서라고 한다. 그러나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인 이상 영어라고 특별히 까다로울 이유가 없다. 영어를 쓰는 규칙을 제대로 파악하고 원리를 이해한다면 영어는 보다 재미있어지고 가까운 대상이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이 책이 지향하는 점이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졸업(문학박사)
대전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교수
캐나다 빅토리아대학교 영어교육원 객원교수
현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저서:『고급영어』, 『영문법』, 『영어사』, 『영작문Ⅱ』, 『고급영작문』 등
이성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어학과(석사)
미국 예일대학교 대학원 언어학과(언어학박사)
한양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교수
현재:서강대학교 국제문화계 1 영미어문전공 교수
저서:『언어와 의미』, 『영어화용론』, 『영어로 읽는 세계』 등
방송통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영문법 방송강의 1강 요약분입니다
저희 스터디에서 사용했던 자료 입니다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UNIT 1 문장 (Sentences)
1.1 문장, 절, 구
(1) 문장 - Sentence
단어들이 모여 완전한 하나의 생각을 나타내는 독립적인 단위
(A sentence is a group of words combined to make one complete thought.)
We are distance students.
(2) 절 - clause
주어와 동사를 구비하고 문장을 구성하는 것
문법의 핵심적 구조 단위
주절 (dependent, main clause) - 완전한 의미를 가지고 단독으로 설 수 있음
종속절 (independent, subordinate clause) - 단독으로 설 수 없음
She applied to the school because she wants to continue her studying.
(3) 구 - phrase
하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단위 (주어와 동사를 갖추지 않음)
역할 : 명사구, 동사구, 형용사구, 부사구
절과 구가 복합적으로 합쳐서 문장을 구성할 수 있음
Our mentor advised us on everything about campus life.
영문법은 영어를 배우고 사용하는 데 있어 중추적인 부분이다. 비록 최근 영어 학습이나 영어 능력 측정 시험에서 영문법을 가급적 배제하는 경향이 있으나 영어의 문장이 어떻게 형성되고 올바른 용법이 어떤 것인가를 알려주는 영문법은 영어에 대한 기초 지식임에는 변함이 없다.
다만 이 책에서는 영문법이 단순히 지식의 수준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제 영어를 구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영어 학습의 살아있는 가이드가 될 수 있도록 집필의 초점을 맞추었다. 그 결과 문장의 기본구성으로부터 시작하여 도치의 변화를 주는 것까지 영문법이 핵심 문법사항들을 기술하는 데 주력하면서 종래의 문법서와 달리 명사의 가산성(countability), 관사의 명확성(definiteness)등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현대문법의 추세대로 동사와 관련된 설명을 많이 할애한 것도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품사적 수준에만 머무르지 않고 강조 및 생략, 도치와 부정 등 문장 형성의 역동적 과정까지 고려하여 보다 종합적인 영문법 설명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많은 학생들이 혼동하고 있는 낡은 전통문법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현대영어의 흐름을 제시하였으며, 예문들은 현재 북미에서 쓰이는 문어체와 구어체의 영어에서 골라 수록하였다.
흔히 문법을 기피하는 이유는 내용이 어려워서라고 한다. 그러나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인 이상 영어라고 특별히 까다로울 이유가 없다. 영어를 쓰는 규칙을 제대로 파악하고 원리를 이해한다면 영어는 보다 재미있어지고 가까운 대상이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이 책이 지향하는 점이다.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졸업(문학박사)
대전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교수
캐나다 빅토리아대학교 영어교육원 객원교수
현재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저서:『고급영어』, 『영문법』, 『영어사』, 『영작문Ⅱ』, 『고급영작문』 등
이성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어학과(석사)
미국 예일대학교 대학원 언어학과(언어학박사)
한양대학교 문과대학 영어영문학과 교수
현재:서강대학교 국제문화계 1 영미어문전공 교수
저서:『언어와 의미』, 『영어화용론』, 『영어로 읽는 세계』 등
방송통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영문법 방송강의 2강 요약분입니다
저희 스터디에서 사용했던 자료 입니다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UNIT 2 명사 1 (Noun 1)
2.1 명사의 정의 및 구분
명사는 사람, 동물, 장소, 사물 등을 가리키는 이름
가산명사 (count nouns)
보통명사 (common nouns)-
명사 (nouns)-
불가산명사 (non-count nouns)
고유명사 (proper nouns)
2.2 명사의 수
명사를 형태적으로 표시해주는 대표적인 수단이 수(number)라는 범주
수는 주어 동사의 일치, 대명사의 결정에 반드시 필요한 개념
모든 명사는 단수 아니면 복수 둘 중 하나에 해당
(1) 복수 어미의 형태 - plural endings
A. -s : 가장 일반적인 어미
B. -es : (i) -s, -ss, -ch, -sh, -x 로 끝나는 명사
(ii) -o로 끝나는 명사
C. -ies : y로 끝나는 명사 (y앞에 자음일 경우)
cf. boys, toys, keys, buys
D. -ves : f(e)로 끝나는 명사
cf. staffs (staves). cliffs
E. 불규칙 : (i) 특수한 어미 : oxen, brethren, children
(ii) 모음의 변화 : men. women, feet, teeth, geese, mice
https://www.facebook.com/sajangyun
가심비 전 윤사장 !
가심비를 쫗아 다니는 전 카페 빈스이치 사장
카페 8년 버티다가 망했어요
그래서 가성비 좋은 가게만 다니고 있어요
제가 가본 곳만 올립니다 ^^
새로운 창업 아이템을 찾고 있어요 ^^
가심비 전 윤사장 !
댓글을 달아 주세요